vi 에디터 기본 명령어

2023. 9. 6. 17:40Just do IT/Linux

반응형

겨우 겨우 구글링으로 서버 셋팅을 하고, 웹서비스를 구동하려고 하니 nginx관련 파일에서 환경 설정 등을 변경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vi 에디터 기본 명령어들을 정리해 봅니다.

 

우선, vi 에디터는 명령모드(Command Mode), 입력모드(Insert Mode), 라인명령모드(Line Command Mode)가 있습니다.

 

1. 명령모드(Command Mode)

   - h, j, j, l : 커서를 상(k),하(j),좌(h),우(l) 로 이동시킵니다.

   - 0 : 해당 라인의 맨 앞으로 이동합니다.

   - $ : 해당 라인의 맨 뒤로 이동합니다.

   - :n : n번째 줄로 이동합니다. (ex. :15 -> 15번째 줄로 이동합니다.)

   - H : 문서의 맨 위로 이동합니다.

   - M : 문서의 가운데로 이동합니다.

   - L : 문서의 맨 아래로 이동합니다.

 

   - y : 선택된 블록을 복사합니다.

   - d : 선택된 블록을 잘라내기 합니다.

   - yy : 현재 줄을 복사합니다.

   - dd : 현재 줄을 잘라내기 합니다.

   - p : 클립보드의 내용을 현재 위치에 붙여 넣습니다.

   - /text : 'text'라는 단어를 검색합니다.

 

2. 입력모드(Insert Mode)

   - i : 현재 커서 위치에 입력합니다.

   - a :  커서의 다음 위치에 입력합니다.

   - o : 현재 줄 다음에 새 줄을 추가하고 입력합니다.

   - I : 현재 커서 다음 위치에 입력합니다.

   - A : 현재 커서가 있는 라인의 끝에서 부터 입력합니다.

   - O : 현재 줄 한 줄 위에 입력합니다.

 

3. 라인명령모드(Line Command Mode)

   - :w : 현재 작업하고 있는 파일을 저장합니다.

   - :w! [name] :  현재 작업한 파일을 [name]으로 저장합니다.

                            (ex. :w! test.php -> 현재 작업한 파일을 test.php 파일로 저장합니다.)

   - :q : vi 에디터를 종료합니다.

   - :q! : 현재 작업했던 파일의 변경사항을 저장하지 않고, vi 에디터를 종료합니다.

   - :wq 또는 ZZ : 현재 작업한 파일의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vi 에디터를 종료합니다.

   - :set number : line number를 보여 줍니다.

 

 

※ 위의 기본적인 기능만으로도 사용하기에는 크게 불편함이 없었습니다만, 더 상세하게 vi 에디터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면 됩니다. 위에 소개 드린 기본적인 내용 이외에도 많은 고급기능들이 있습니다.

 

http://www.cheat-sheets.org/saved-copy/Vi_Cheat_Sheet.html

 

Vi Cheat Sheet

Ranges may precede most "colon" commands and cause them to be executed on a line or lines. For example :3,7d would delete lines 3-7. Ranges are commonly combined with the :s command to perform a replacement on several lines, as with :.,$s/pattern/string/g

www.cheat-sheets.org

 

반응형

'Just do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기본 명령어  (0) 2023.08.28